5월 15일인 ‘세종대왕 나신 날’과 ‘스승의 날’의 관계를 국민 상당수가 모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세종대왕
픽사베이

문화체육관광부는 국어문화원연합회와 함께 진행한 세종대왕 관련 국민 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매출이 달라지는 네이버 플레이스 마케팅 시작하기
    우리동네 1등 가게 되는 온라인 평판관리 마게팅 방법은?

조사에서는 ‘세종대왕 나신 날과 스승의 날 간의 관계를 아는지’에 대해 물었다. 또 세종대왕의 업적에 관한 질문도 있었다.

그 결과 응답자 76.3%는 세종대왕 나신 날이 언제인지, 세종대왕 나신 날과 스승의 날 간 관계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답했다.

5월 15일이 세종대왕 나신 날인 사실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연령별 비율은 60대가 31.5%로 가장 높았다. 최하위는 16.7%에 그친 10대였다.

세종대왕의 각종 정책과 업적 관련 질문에서는, 세종대왕의 여성 노비 출산 휴가 정책을 알고 있는 대답이 60.7%를 기록했다. 논밭 세금 제도를 알고 있다는 답변은 58%였다.

이 외에 세종대왕의 농업 장려 정책(농사직설 등), 인재 양성 정책(사가 독서 등), 과학 수준 향상 정책(칠정산 등) 등에 대해서도 각각 63.8%, 82.2%, 84.0%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국가기록원 자료 등에 따르면 스승의 날은 1958년 충남의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투병하던 스승을 보살피는 봉사 활동에서 시작됐다.

1964년 5월 26일을 ‘은사의 날’로 기념하다가 1965년부터 교원 단체를 중심으로 ‘겨레의 참 스승을 본받자’는 뜻에서 세종대왕 탄생일인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정했다.

정부는 스승의 날로만 여겨졌던 이날에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는 날’이라는 의미를 더하고자, 지난해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

추천기사
1.커피 안 마셨는데도 잠 못 자는 사람들 이유
2.여직원 지갑에서 민증 꺼낸 남자 공무원 “이게 성희롱이야?”
3.김준호 김지민 웨딩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