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에서 진행된 한 전공 수업의 중간고사에서 대규모 부정행위가 드러나면서 학내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상당수 학생이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를 활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대학 교육 현장의 공백이 도마 위에 올랐다.

9일 학계에 따르면 연세대 신촌캠퍼스 3학년 대상 강의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의 담당 교수는 최근 “중간고사에서 다수의 부정행위가 확인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에게 중간고사 점수 ‘0점’을 부여하겠다는 공지를 전달했다. 해당 과목은 약 600명 규모로,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된다. 중간고사 역시 지난달 온라인으로 치러졌다.
시험은 지정된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풀고, 동시에 자신의 화면·손·얼굴이 모두 보이는 영상을 시험 시간 동안 계속 촬영해 제출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일부 학생들은 카메라 각도를 조정해 사각지대를 만들거나 여러 개의 창을 띄워두는 등 감시를 피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부정행위를 시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수는 공지에서 자진 신고한 학생에 한해 중간고사만 0점 처리하고 추가 징계는 유예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실제 부정행위 인원은 공식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학생 커뮤니티 반응은 심각했다. 연세대 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양심 투표하자”는 글이 올라왔고, 353명 중 190명이 “커닝했다”고 응답했다. 절반 이상이 부정행위에 연루됐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수치다.
AI 활용도 역시 광범위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 수강생 A씨는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대부분 챗GPT로 문제를 풀었다”고 주장했고, 지난 학기 수강한 B씨도 “친구들 다수가 AI를 통해 답을 찾았다”고 증언했다.
국내 대학 전반에 AI가 빠르게 도입되고 있음에도 실제 관리·정책은 뒤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4~6년제 대학생 726명 중 91.7%가 과제나 자료 검색에 AI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조사에서는 전국 131개 대학 중 71.1%가 아직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시대에 맞는 평가 방식과 규칙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그리고 부정행위를 제어하면서도 학습 도구로서의 AI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숙제가 대학 사회에 남아 있다.
1.현아, 마카오 공연 중 갑자기 쓰러져…혹독한 다이어트 때문?
2.고우림이 김연아에게 잘 보이는 법
3.“60살 넘으면 뇌 썩는다던 유시민, 본인이 한 말 몸소 증명 중“











![[글로벌기자단] 역수입 열풍! 세계적인 몬치치 광풍의 불씨는 한국과 인플루언서였다!](https://turbonews.co.kr/wp-content/uploads/2025/11/image-17-218x150.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