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에 오류 문항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충형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는 한 수험생 커뮤니티 게시판에 ‘국어 17번 문제 제기’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 보았는데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다”고 주장했다.
이번 수능 국어 영역의 고난도 문항으로 꼽히는 17번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견해를 담은 지문을 읽고 푸는 문제다.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경우,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라는 ‘갑’의 주장을 제시한 뒤 이를 이해한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찾으라는 문제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정답으로 제시한 3번은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군’이다.

하지만 이충형 교수는 3번이 정답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지문엔 ‘칸트 이전까지 인격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는 문장이 나온다.
그런데 스캔 프로그램으로 의식이 재현되면 ‘단일한 주관’이라는 조건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다는 게 이 교수의 주장이다.
또 그는 “개체 a와 b 그리고 속성 C에 대해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를 통해 풀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이 풀이는 실제로는 잘못된 풀이”라고 했다.
이어 “갑은 ‘생각하는 나’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 영혼에 대해서는 말하고 있지 않아서, ‘생각하는 나’와 영혼의 연결 고리가 필요하다”며 “지문에 등장하는 이 둘의 유일한 연결 고리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라는 표현인데, 이는 지문과 보기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다”고 했다.
수능 이의 신청은 지난 17일까지였다. 해당 문항에 대한 이의 신청은 10여 건 접수됐다. 평가원은 25일 최종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
추천기사1.서울 휘발유 가격 1800원 돌파…3주 연속 상승에 소비자 부담 가중
2.김수용 심정지 중환자실 입원 후 재조명된 심각한 귓볼 주름
3.BTS 진 강제추행 한 일본 여성 “뽀뽀가 죄냐, 분하다”








![영국 카밀라 왕비가 극찬한 한국인 발레리나 독무 [영상]](https://turbonews.co.kr/wp-content/uploads/2025/11/0003941673_002_20251118164511929-218x150.gif)









![[car-sign]추운 겨울,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켜지는 이유는?…과학적 원리와 관리법](https://turbonews.co.kr/wp-content/uploads/2025/11/image-10-218x150.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