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내부통제 시스템으로 이상 징후 포착”
업계 “문제 해결책 제 역할 못해…근본적인 대안 마련해야”

우리은행에서 또 다시 100억원 규모의 금융 사고가 발생했다.

우리은행은 횡령사고가 잇따르자 검사업무 기능 강화 및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부서 단위인 검사실을 검사본부로 격상하고, 임직원들의 윤리의식 강화 교육 강화했다. 또 내부자신고제도도 익명성을 강화하고, 또 인센티브를 최대 10억원까지 늘렸다.

우리은행 사옥. / 우리은행 제공

업계에서는 “회사에서 마련한 대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면 회사가 새운 사고 방지책이 부족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방지책을 새로 마련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방의 한 지점에서 100억원가량의 고객 대출금이 횡령된 사실을 파악하고 정확한 피해 금액과 사고 경위를 파악 중이다.

지점 직원 A씨는 올해 초부터 최근까지 대출 신청서와 입금 관련 서류를 위조하는 방식으로 대출금을 빼돌린 뒤 해외 선물 등에 투자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A씨의 투자 손실은 약 60억원으로 추정된다.

우리은행은 외부의 질타를 의식한 듯 “이번 사고가 자체 내부통제 시스템에 의해 적발됐다”고 홍보했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회사는 은행 여신감리부 모니터링을 통해 대출 과정에서의 이상 징후를 포착하고, A씨에게 소명을 요구하는 한편 담당 팀장에게 거래 명세를 전달해 검증을 요청했다.

A씨는 이날 경찰에 자수했으며, 우리은행은 상세한 경위를 파악하고 횡령금을 회수하기 위해 특별검사팀을 해당 지점에 급파한 상황이다. 향후 강도 높은 감사와 함께 구상권 청구, 내부통제 프로세스 점검 등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철저한 조사로 대출 실행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해 유사 사례의 재발을 방지할 것”이라며 “관련 직원에 대한 엄중 문책과 전 직원 교육으로 내부통제에 대한 경각심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은행은 지난해 700억원대 횡령사고가 발생하는 대규모 사고를 겪은 데 이어 직원이 시재금 9000만원을 횡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에도 고객 공과금 5000만원을 횡령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추천기사
1. 엔터社 경영권 분쟁, 이번엔…래몽래인 “이정재 믿었는데 부당편취”
2. 위메이드, 가상화폐 지갑 ‘우나 월렛’ 오는 9월 종료
3. 해양진흥공사, 친환경설비 개량사업 2자지원·특별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