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가던 금값이 12년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하며 급락했다.

금 금괴
픽사베이

21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국제 금값은 장중 온스당 4082.03달러까지 떨어졌다. 하락 폭(6.3%)은 2013년 4월 이후 가장 큰 수치다.

은 가격은 장중 8.7% 떨어져, 2021년 2월 이후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스위스의 자원 투자자인 알렉산더 슈타헬은 블룸버그에 “금값이 하루 5% 이상 떨어지는 일은 수십만 거래일 중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드문 현상”이라고 했다.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급락 배경으로 미ㆍ중 무역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감과 달러 강세를 꼽았다.

여기에 미 정부 셧다운(부분 폐쇄)으로 투자 흐름을 파악하는 데 제약이 생겼고, 세계 최대 금 수입국 중 하나인 인도의 디왈리 축제기간 휴장으로 매수세가 급감한 점도 더해졌다.

시장은 ‘과매수’ 상황에서 차익 실현 등을 통한 조정 국면으로 보고 있다. 올해 들어 금값은 약 60%, 은값은 80% 가까이 급등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실물 금을 담보로 한 상장지수펀드(ETF)에 지난주에만 80억 달러가 유입됐다. 2018년 이후 주간 최대 규모다.

BMO 캐피털 마켓츠의 상품 분석가 헬렌 에이모스는 “이처럼 단기간에 자금이 몰렸을 때, 일부 투자자가 빠르게 수익을 실현하고 시장을 이탈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추천기사
1.제복 입은 경찰관과 영상통화 했다면 ‘이것’ 의심해 보세요
2.9살 연하 간호사 남친 자랑하는 의사의 충격적 반전
3.“종량제봉투에 볼펜 버렸다가 80만원 과태료 냈다”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