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오는 9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 시리즈에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온라인 커뮤니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애플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아이폰 17 라인업에 새로운 기능과 디자인 변화가 적용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가격 인상도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애플이 아이폰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매출이 달라지는 네이버 플레이스 마케팅 시작하기
    우리동네 1등 가게 되는 온라인 평판관리 마게팅 방법은?

현재 미국 내 아이폰 기본 모델(128GB)은 799달러부터, 프로맥스 모델(256GB)은 1199달러부터 시작된다. 이번 가격 인상 배경에는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고율 관세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온라인 커뮤니티

비록 지난달 미국 정부가 아이폰을 상호관세 제외 품목으로 분류했지만, 여전히 중국발 부품에는 ‘펜타닐 관세’ 20%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공급업체를 통한 비용 절감 여지가 줄어들면서 애플의 제품 마진에도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WSJ는 “애플 경영진은 관세만을 가격 인상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것을 경계하고 있으며, 디자인 개선 등 부가 요인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애플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생산 거점을 인도로 분산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인도는 전 세계 아이폰 출하량의 약 13~14%를 차지했으며, 올해는 그 비중이 두 배 가까이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인도의 생산 인프라는 아직 중국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다.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의 아빌라시 쿠마르 분석가는 “이르면 내년 말부터 인도가 미국과 자국 내 수요를 동시에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중국은 여전히 부품 조달과 고급 모델 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마진이 높은 프로와 프로맥스 모델의 경우 생산의 상당 부분이 중국 공장에 집중돼 있다. 투자은행 제프리스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내에서 판매된 약 6500만 대의 아이폰 중 절반 이상인 3600만~3900만 대가 프로 및 프로맥스 모델이었다. WSJ는 “인도 생산 역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중국의 대규모 제조 기술을 당분간 대체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1.성기 누르고 비비고…일본 예능같다는 문채원 SNL7
2.여직원 지갑에서 민증 꺼낸 남자 공무원 “이게 성희롱이야?”
3.“5월 15일은 무슨 날?” 국민 10명 중 7명 넘게 틀렸다는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