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이 이번엔 대통령 관저 이전 공사와 연결된 ‘디올 선물’ 정황을 정면으로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관저 공사를 따낸 인테리어 업체 21그램이 김 여사와 가까운 사이였고, 그 시기 전후로 디올 가방·의류·팔찌 등 이른바 ‘디올 3종’이 들어갔다고 보고 물증 확보에 나선 것이다.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서초 아크로비스타 자택까지 들어간 건 이 정황을 실제 선물·대가 구조로 입증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특검팀(특검 민중기)은 6일 윤 전 대통령 부부 자택과 인테리어 업체 21그램 사무실, 김 여사의 과거 전시·행사 창구였던 코바나컨텐츠 사무실 등 9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해 관련 물품과 자료를 확보했다. 영장에는 윤 전 대통령은 적시되지 않았고, 김 여사만 ‘참고인’으로 기재돼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영장 압수 대상에는 ‘관저 이전 공사 특혜 의혹 관련 청탁금지법 위반’과 함께 ‘디올 제품 일체’가 명시돼 있었다.

이번 의혹의 핵심은 두 가지다. 첫째, 원래 다른 업체가 맡기로 돼 있던 2022년 관저 이전·증축 공사가 같은 해 5월쯤 대통령경호처 결정으로 21그램으로 바뀐 이유가 무엇이냐는 점. 둘째, 그 무렵 21그램 대표 측에서 김 여사에게 디올 브랜드의 고가품을 건넸고 이것이 사실상 공사 수주 전후의 ‘표식’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점이다. 21그램은 종합건설업 면허가 없는 곳인데도 수의계약으로 관저 공사를 맡아 ‘우회 특혜’ 논란이 이어져 왔다.
특검이 디올을 콕 집어 간 건 21그램 대표의 부인이 과거 샤넬 가방 교환 때 김 여사 측 핵심 인사와 동행해 200만 원을 대신 결제해줬다는 정황과도 연결돼 있다. 즉 이 인맥 라인이 실제로 명품을 매개로 움직였는지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김 여사는 통일교 측이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건넸다는 샤넬백 2점을 받은 사실은 인정했지만, 그라프 목걸이 등은 부인해 온 상태다. 이번에 디올까지 수사선상에 오르면서 수사 축이 ‘샤넬·그라프·반클리프’에서 ‘디올’로 확장된 셈이다.
김 여사 측은 즉각 “특검이 처음부터 ‘디올’이라는 특정 브랜드를 적시해 가져가 전체가 마치 청탁물인 것처럼 보이게 하고 있다”며 “각 물품의 취득 시점·지급 경위·결제 내역은 차례로 소명될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다시 말해, 선물로 받은 것과 직접 구입한 것을 한꺼번에 묶어선 안 된다는 방어 기조다.
특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수사 중 새로 확인된 사실에 따른 불가피한 압수수색”이라며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압수는 이미 진행 중인 ‘고가 귀금속 매관매직’ 의혹 수사와도 연결돼 있다. 특검은 김 여사에게 11월 24일 출석을 통보한 상태다. 앞서 김 여사는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 측의 반클리프아펠 목걸이, 로봇개 사업자 서성빈 씨가 사줬다는 바쉐론 콘스탄틴 시계, 통일교 라인을 통해 건너온 샤넬백 2점, 그라프 다이아몬드 목걸이 의혹 등 여러 갈래의 ‘명품 수수’ 의혹으로 잇달아 조사 대상이 돼 왔다. 이번 ‘디올 3종’은 그 연장선 위에 놓인 새로운 축이다.
추천기사1.악동뮤지션 아버지 “딸 이수현, 이찬혁과 취향 안 맞아 노래하는 즐거움 잃어”
2.고우림이 김연아에게 잘 보이는 법
3.이제부터 손주 돌보면 월 60만원씩 주는 대한민국







![[글로벌기자단] 역수입 열풍! 세계적인 몬치치 광풍의 불씨는 한국과 인플루언서였다!](https://turbonews.co.kr/wp-content/uploads/2025/11/image-17-218x150.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