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가 빠졌거나 치은염을 앓는 등 구강질환이 있으면 암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50세 이상 장년층이 빠진 치아를 오래 방치했을 때 암 발생률은 20% 가까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김계형 교수와 서울시보라매병원 공공부문 이승연 박사 연구팀은 구강질환 유무에 따른 암 발생률과 암 사망률을 분석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프로그레스’(Science Progress) 최신 호에 발표했다.
연구는 2009년 구강검진을 받은 성인 384만5280명을 2019년까지 추적 관찰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관찰 기간 내 암 발생은 18만1754건이었고 암으로 사망한 환자는 3만7135명이었다.
분석 결과 구강질환이 있는 환자는 없는 환자보다 높은 암 발생률을 보였다. 치아 상실의 경우 대장암 13%, 간암 9%, 위암 8%, 폐암 4% 더 많이 발생했다. 치은염도 간과 대장암 발생 위험이 각각 8%와 7% 증가했다.
사망률을 봤을 때도 치아 상실을 겪었던 사람은 전립선암 사망률이 24% 높았고 위암 21%, 간암 16%, 대장암 14%, 폐암 8% 증가했다. 치은염 역시 간암 사망률을 11%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향은 50세 이상 장년층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연령대에 앓는 치아 상실은 전체 암 발생 위험을 18% 높였다. 위암, 대장암, 간암 등 주요 소화기계 암의 발생률도 훨씬 높았다.
1.또 불출석한 윤석열 측 “어지럼증에 계단 오르기도 힘들어”
2.“멋진 구독”…정우성, 문가비 혼외자 논란 후 최신 근황
3.“나도 공무원, 사람 말리는 법 안다”…자녀 담임한테 폭언한 동탄 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