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망원인 4위인 뇌졸중은 증상이 갑자기 나타날 뿐만 아니라 빠른 진단과 적절한 대응이 없다면 심각한 장애를 얻을 수 있다. 조기 증상을 미리 알고 ‘골든타임’ 내 치료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뇌졸중
유튜브 채널 ‘KBS 생로병사의 비밀’ 영상

질병관리청은 29일 ‘세계 뇌졸중의 날’을 맞아 뇌졸중의 심각성과 조기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뇌졸중은 뇌혈관질환 중 하나로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뇌경색과 뇌출혈로 구분된다. 뇌 손상으로 인한 신체장애가 발생하는 등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통계에 따르면 뇌졸중은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 4위에 올랐다. 수치로 따지면 인구 10만 명당 48.2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하는 셈이다.

2022년 발생 건수는 11만574건이고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15.7건으로 집계됐다. 남성 56%, 여성 44%였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발생률도 높아 80세 이상 발생률이 인구 10만 명당 1515.7건으로 가장 높았다.

뇌졸중 발생 후 30일 이내 사망하는 치명률은 7.9%이며 1년 이내 치명률은 20.1%로 나타났다. 이 확률은 65세 이상 고령층일수록 더 높아져 30일 이내 11.5%, 1년 이내 32.1%였다.

뇌졸중이 위험한 이유 중 하나는 갑자기 나타나는 증상이다. 제때 치료받지 못하면 생존하더라도 심각한 장애를 동반할 수 있기에 사전 예방과 발생했을 때의 조기 대처가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질병청 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뇌졸중 조기 증상 인지율은 59.2%에 불과하다.

만약 일상생활 도중 한쪽 얼굴·팔·다리에 힘이 빠지고 마비가 온다면 뇌졸중 조기 증상을 의심해야 한다. 말이 어눌해지고 시야가 좁아질 때, 갑자기 어지러워 중심 잡기가 힘들고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심한 두통 등이 오는 경우도 문제다.

통상 뇌졸중 ‘골든타임’은 혈전용해제를 투여할 수 있는 시간인 4시간30분 내외다.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면 지체하지 말고 119에 도움을 요청해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이동해야 한다. 아울러 뇌졸중 위험 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흡연 등도 상시 관리해야 한다.

추천기사
1.제천 목욕탕에서 똥 ‘뚝’…무슨 일
2.최민희 딸 페북 “2024년 8월 14일 결혼”…결혼식은 올해? 왜?
3.‘지방시 며느리’ 정다혜가 선택한 결혼식 답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