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가 알고있는 순돌이 아빠의 직업은?
그 많던 전파사들은 다 어디로 간것일까?

삼성전자는 소비자가 자신의 제품을 직접 수리할 수 있는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30일부터 국내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갤럭시 자가 수리 도구와 갤럭시 S22 울트라 제품 사진. (사진=삼성전자홈페이지)

1980년대 중후반 인기를 끈 (MBC) 드라마 <한지붕 세가족>에는 ‘순돌이 아빠(배우 임현식)’라는 캐릭터가 나온다. 현재 40대면 모두다 아는 캐릭터다. 만물수리점을 운영하는데, 뭐든 뚝딱뚝딱 잘 고치는 인물로 설정돼 있다. 그당시 맥가이버라는 미드의 주인공처럼 말이다. 당시에는 전자기기를 분해서 고치는 일을 하는 걸 좋아하거나 손재주가 좋은 사람에게는 어김없이 ‘순돌이 아빠’라는 별명이 붙곤 했다.

    파스쿠찌 클래식 라떼 인터넷최저가판매중
무료 타로카드로 당신의 행운을 확인하세요 

그때만 해도 웬만한 고장은 쉽게 수리할 수 있는 전파상이나 수리점이 꽤 많았다. 집에서 손수 물건을 고쳐서 쓰는 일도 흔했다. 그리고 학교에서도 트렌지스터 같은걸 사서 납땜을 하며 간단한 라디오 정도는 만드는 실습도 했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물건이 고장 나면 제조사의 공식 수리센터로 들고 가는 걸 당연시하는 문화가 자리잡았다. 수리센터에서는 ‘부품이 단종됐다’거나 ‘수리비가 더 많이 든다’는 이유로 새 제품 구매를 권하는 일도 잦다. 수리비가 적정한지 따지기도 어렵다. 업체들이 물건을 더 많이 팔려고 일부러 수리를 어렵게 한다는 ‘계획된 노후화’(planned obsolescence)란 말도 있다. 당연히 소비자의 부담이 커지고 자원 낭비와 환경 오염이 가중된다. 이러한 원인중 부품과 수리 방법 등을 제공하지 않는 대형 제조사들의 ‘수리 독점’ 탓이 크다.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는 수리할권리가 급 부상하고 있다. 수리할권리란 제조사들이 부품과 수리기술을 소비자에게 공유해 소비자들이 직접 수리 주체와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수리하기 쉽고 내구성이 좋은 제품을 사용할 권리는 포괄하는 개념이다.

다소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례는 쉽게 찾을 수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애플이다.

아이폰14 분해 영상 /IFixit 캡처

최근 출시된 애플 아이폰 14는 아이폰 7 이후에 수리하기 가장 쉬운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애플은 소비자가 직접 수리할 수 있도록 부품을 판매하여 셀프수리를 할수 있게 만들고 있다. 다만 한국은 아쉽게도 관련 법안이 국회에 계류되 적용되지 않고 있다.

오늘 우리나라에도 수리할권리와 관련된 기사가 나왔다. 삼성전자가 자사의 갤럭시 스마트폰과 노트북을 구입한 소비자들에게도 직접 수리할수 있도록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리할권리는 먼나라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여러 국내외 정서와 맞물려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물건을 구매하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환경문제도 급부상하고 있어 새롭게 물건을 구매하는것보다 고처 사용하는 쪽으로 많은 사람들이 움직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