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의 결혼이 급증하고 있다고 1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전했다.

결혼
픽사베이

한국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의 혼인 건수는 지난해 대비 40% 증가한 1176건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10년간 최다 수치다.

    우리집 반려견패드 싸게 구매하는 방법은?
    두부모래 두무보래 두무모래 가성비 두부모래 파는곳은?

반면 한국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의 결혼은 147건으로 10년 전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한국의 전체 혼인 건수는 저출산의 영향으로 10년 전보다 30% 감소했지만 국제결혼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체 혼인의 10% 내외를 차지했다.

코로나19 이후 일본인과 결혼한 사례는 급증하고 있다. 2019년에서 2024년 사이 일본인과의 결혼 사례는 13% 증가했지만, 중국·필리핀·베트남인과의 결혼 사례는 오히려 감소했다.

매체는 한류 문화가 양국 청년들의 거리를 좁혔다고 분석했다. 특히 K팝과 한국 드라마를 통해 한국 문화를 접한 일본 여성들이 한국인 남성과의 결혼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양국의 국제결혼 양상도 변했다. 1970~80년대에는 일본의 경제력과 농촌 인력 부족을 배경으로 한국 여성이 일본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자발적 이주를 선택하는 일본 여성이 증가했다는 게 매체의 분석이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으로 이주한 일본인 여성의 30~40%가 경제적 이유보다는 한국에 대한 동경과 삶의 보람을 결혼 이유로 꼽았다. 그 사이 한국의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일본을 추월하는 등 한·일 간 소득 격차도 줄었다.

도쿄에 거주하는 한 여성 회사원 A(43)씨는 최근 한국인 남성(45)과 결혼했다. 그는 “한국 남성은 가정적이고 애정 표현이 풍부하다”며 결혼 선택 이유를 밝혔다.

대기업에 근무하는 40대 한국 남성은 “결혼한다면 일본인과 하고 싶다. 예의가 바르고 요리를 좋아한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결혼이주에 따른 위험도 존재한다. 언어와 문화의 장벽, 가정폭력, 산후우울증 등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도움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2019년 한국의 일본 제품 불매운동 당시,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여성의 95%가 불안감을 느꼈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또 자녀들에게 양국의 역사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도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추천기사
1.“비행기에서 커피 마시지 말라” 승무원들 단체 폭로 나왔다
2.‘130여명 식중독’ 서초구 김밥집 어디?…“폐업하려는 듯” 목격담도
3.윤석열에게 영치금 넣은 女변호사 “대통령님 인권 탄압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