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내과 우창윤 교수가 인공감미료가 첨가된 ‘제로음료’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경계했다. 단맛은 혀가 느끼지만, 혈당 반응이 없기 때문에 뇌는 계속해서 ‘진짜 단 것’을 찾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18일 유튜브 채널 ‘안녕하세미’에 출연한 우 교수는 “단맛의 자극이 계속되면 혀가 단맛에 둔감해진다”며 “혀는 달지만 혈당이 오르지 않으면 뇌는 만족하지 못해 단 음식을 더 찾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로음료는 단맛만 전달하고 뇌에 필요한 혈당은 오르지 않기 때문에 단 것에 대한 갈망을 오히려 키운다”고 지적했다.

우 교수에 따르면 이 같은 반응은 특히 비만 환자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뇌 MRI 영상을 보면, 제로음료를 마신 뒤 비만한 사람은 배고픔을 느끼는 중추가 활성화됐지만, 정상 체중인 사람은 그렇지 않았다. 제로음료가 허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의미다.
혀가 단맛에 적응하면서 생기는 문제도 있다. 우 교수는 “강한 단맛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단맛을 느끼는 수용체의 수가 줄어들고, 결국 더 강한 자극을 원하게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제로음료에 사용되는 인공감미료는 과거보다 20~30% 더 많아지고 있어, 단맛의 자극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이로 인한 건강 위험도 간과할 수 없다. 대표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장내 세균 불균형, 당뇨병, 심혈관질환, 비만 등이 있다. 특히 과당이 간에 축적되면 지방간이 유발되고, 장 기능까지 저하될 수 있다.
제로음료는 ‘설탕보다 건강하다’는 인식으로 많은 이들이 하루에 한두 캔씩 마시는 ‘건강한 습관’처럼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우 교수는 “제로음료도 내장지방 축적에 영향을 준다”며 “단맛은 인공이든 자연이든, 총량 자체를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추천기사1.10년 만에 공개된 이나영-원빈 투샷
2.“수감자 사라져 배식구 열어보니 얼굴이” 청주여자교도소에서 생긴 일
3.음주운전 걸린 ‘극한직업’ 배우 송영규 “대기 부르긴 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