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이 최근 논란이 된 카카오톡 업데이트와 관련해 “이전 버전으로의 완전한 롤백(복구)은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했다.

우 부사장은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완전한 롤백은 기술적으로 어렵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저희가 생각하는 롤백이라는 개념은 앱 2.0일 때 1.0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2.0에서 2.1 버전 등이 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광고 판매 수익 때문에 롤백을 못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엔 “(광고 판매 수익은) 저희 고려 사항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 부사장에게 “카카오톡이 최근에 엄청 큰 업데이트를 했다. 이후 국민의 공분이 들끓고 있다”며 “저 또한 미성년자 자녀를 둔 학부모로서 너무 당황스럽다. 숏폼이 강제로 송출된다”고 질타했다.
이어 “업데이트 한 번에 시가총액이 3조원이 날아갔다. 그런데 아직도 업데이트 롤백은 허용하지 않고 있다”며 “더 황당한 건 이 사태를 주도한 홍민택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용자 비판을 입틀막 하려고 (자신을 비판한 게시물 삭제를 요구하는 등) 전광석화처럼 움직였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카카오톡을 신뢰하고 사용해 왔던 이용자들을 배신했고 주주들에게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가한 셈”이라며 “이 문제에 대해서 사과할 용의가 없느냐”고 물었다.
이에 우 부사장은 “일단 이용자들의 불편 사항과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해서 잘 알고 있고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조만간 개선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했다
황 의원은 “(업데이트에 대한) 사전 고지가 일절 없었던 데다 미성년자들이 숏폼을 강제로 시청당하게 하는 것은 디지털 공해를 넘어 테러 수준”이라며 “오픈 채팅방을 들어가려고 하면 숏폼을 강제로 시청해야 한다”고 했다.
우 부사장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에 만 14세 미만 이용자에 대해서는 맞춤형 광고 목적의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게 돼 있는데, 이 권고를 따르고 있다”면서도 성인에 대해서는 비식별 행태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향후 활용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추천기사1.15살 소녀 성폭행한 아빠와 아들…구독자 수백만 유튜버였다
2.계엄날 대통령실 CCTV…이상민은 왜 웃었을까
3.‘더글로리’ 하도영처럼…정성일, 9년만에 이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