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서 경찰관을 사칭해 영상통화로 신뢰를 얻은 뒤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고 거액을 가로채는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이 연달아 발생했다.

22일 울산 북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5일 울산 중구에 사는 70대 여성 A씨는 은행원을 사칭한 전화로 “고객님 통장에서 돈이 인출되려는데, 실행해 줘도 되느냐”는 안내를 받았다.
놀란 A씨가 “인출을 허락한 적이 없다. 안 된다”고 답하자, 사칭범은 “돈이 빠져나가지 않아서 다행”이라며 “유사 피해를 막고 범인을 잡아야 하니 경찰관과 연결하겠다”고 말한 뒤 끊었다.
곧바로 걸려 온 영상통화에는 경찰 제복을 입은 3명이 책상에 앉아 있고, 뒤편에는 실제 경찰서 사무실처럼 태극기가 걸려 있었다.
가짜 경찰관은 “피해는 막았지만, 휴대전화에 악성 앱이 깔려 있을 수 있다”며 “악성 앱을 제거하는 앱을 설치하라”고 설득했다. A씨는 지시에 따라 앱을 설치했고 이는 원격 제어 앱이었다.
설치 사실을 확인한 가짜 경찰관은 “금융감독원이나 검사가 확인차 전화할 수 있다”고 예고했고, 10여 분 뒤 ‘금감원 직원을 사칭한’ 전화가 이어졌다.
이 사칭범은 “무죄를 입증하려면 금융 자산을 골드바로 바꿔서 조사받아야 한다”고 다그쳤다. 이에 A씨는 1억원이 든 적금을 해지하러 은행을 찾았다. 갑작스러운 고액 인출을 수상히 여긴 은행원이 경찰에 신고하면서 범행은 미수에 그쳤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이 A씨가 골드바를 구매하면 조사를 명목으로 골드바를 넘겨받으려 한 것으로 추정한다. 특히 이 일당은 원격 제어 앱으로 A씨 휴대전화에 임의로 비밀번호를 설정해 디지털 포렌식을 지연시키기도 했다.
울산에서는 이 같은 수법에 당할 뻔했다는 신고가 10월 들어 A씨 사례를 포함해 3건 이상 접수됐고 관련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
추천기사1.울컥 눈물 나오는 윤남노 셰프와 해외팬 사연
2.9살 연하 간호사 남친 자랑하는 의사의 충격적 반전
3.“남자 아이돌이랑 뒷좌석에 뭐 했어요?” 블박 영상 본 렌터카 사장의 협박